반응형
카카오톡 업데이트, 이번에는 뭐가 바뀐 걸까?
며칠 전 카카오톡이 15년 만에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했어요. 실제로 써보니 기존과 완전히 달라진 부분이 꽤 많더라고요.
주요 변경 사항은 크게 세 가지예요.
- 친구 탭 UI 변화
- 예전에는 친구 목록이 이름,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 순으로 깔끔하게 목록화돼 있었죠.
-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친구 피드형 UI가 적용돼서, 친구의 프로필 사진, 배경사진, 게시물, 상태 메시지 변경 내역이 SNS 타임라인처럼 격자형 피드로 표시돼요.
- 솔직히 업무용 연락처나 별로 안 친한 친구까지 한눈에 보이는 구조라서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 광고 노출 확대
- 친구 피드 사이사이에 광고가 동일한 크기로 삽입돼, 스크롤하다 보면 친구 게시글과 광고가 섞여 있는 느낌이에요.
- 이전보다 광고 비중이 커졌다는 반응이 많고, 일부 친구 목록에는 광고 계정이 함께 올라오기도 합니다.
- 채팅 탭에 챗GPT 추가
- 카카오톡 내에서 앱 전환 없이 AI 챗GPT를 이용할 수 있도록 채팅 탭에 통합됐어요.
-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을 챗GPT를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지만, UI 적응 문제와 광고 증가가 동시에 있어 호불호가 갈립니다.
친구 목록 대신 피드, 솔직히 불편해요
저만 느끼는 게 아니라 주변에서도 다들 “업무용 연락처까지 화면에 가득 떠서 피곤하다”고 하더라고요.
연락하려고 친구 탭을 눌렀는데, 정작 친구 이름 찾기가 어렵고 피드만 가득이라 답답한 느낌이에요.
게다가 피드 사이에 광고가 똑같은 크기로 끼워져 있어서 스크롤할 때마다 눈이 산만해집니다.
SNS처럼 보이게 만든 의도는 알겠지만, 카톡 특유의 단순함을 좋아하던 유저에게는 불편함이 큽니다.
자동 업데이트 끄는 법, 미리 알아두세요
이미 업데이트된 분들은 롤백이 안 되어서 어쩔 수 없지만, 아직 업데이트하지 않은 분들은 자동 업데이트를 꺼두는 게 안전합니다.
📱 안드로이드 (구글 플레이스토어)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 실행
- 프로필 아이콘 클릭 → 앱 및 기기 관리 → 관리 탭
- 카카오톡 선택 후 우측 상단 점 세 개 메뉴 → 자동 업데이트 해제
또는
- 설정 → 네트워크 기본 설정에서 앱 자동 업데이트 → 사용 안 함
📱 아이폰 (애플 앱스토어)
- 설정 앱 → App Store
- 자동 다운로드 항목에서 앱 업데이트 비활성화
이렇게 해두면, 앞으로 원치 않는 자동 업데이트로 인한 불편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솔직히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는 SNS형 피드 + 광고 확대 + AI 통합이라는 큰 변화가 동시에 왔습니다.
편리해진 부분도 있지만, 친구 목록 단순성 상실과 광고 증가 때문에 적응이 쉽지 않아요.
저는 일단 자동 업데이트를 꺼두고, 카카오가 이용자 피드백을 어떻게 반영할지 조금 더 지켜볼 예정입니다.
개편은 이해하지만, 유저 선택권과 단순함도 어느 정도 보장해줬으면 좋겠네요.
반응형